|
|
 |
우레탄 슈, 우레탄블럭 슈 |
HOME > 제품소개 > 우레탄 슈, 우레탄블럭 슈
|
|
|
|
|
|
1. 우레탄 블럭 슈
◎ 별도판매

높이 조절용 패드(두께10T) |
◎ 납품실적
- 화성 동탄 삼부 르네상스아파트 현장
- 용인 마북리 현대자동차 환경연구소 현장
- 경산 조폐창신축 현장
- 제주도 해비치호텔 현장
- 홍익대학교신축 현장
- 왕십리 민자역사 현장
- 과천 3단지 재건축 현장 외 다수현장
|
◎ 제품특징
- 라바블럭슈(고무제 배관 받침목)의 보온 시공이 가장불편한 점을 착안하여 보온재와 연결이 수월하도록 고안되었음.
- 보온시공 시간 절감으로 인건비 대폭 절감 효과
- 보온 자재비 절감 효과
- K.S규격 기준의 하중 강도 만족(공인기관 성적서 첨부)
|
폐타이어 재질로 된 제품은 결로 방지를 위해 보온 시공은
필히 해야됩니다. 왜냐하면 배관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폐타이어의 표면경도(HAS)가 55이상이어야 하는데 이 경도의 열전도율(0.14~0.21W/m,k)은 K.S 기준의 열전도율(0.043W/m,k)보다
많이 미달되기 때문임. |
◎ Dimension(mm) ※ W=우레탄 블럭 폭, W1=유볼트 센터간 간격, T=보온두께
|
T |
ΨO |
W1 |
H |
d |
L |
20 |
동관용 |
27 |
25 |
71±3 |
27 |
10
(3/8") |
120 |
강관용 |
30 |
동관용 |
40 |
25 |
96±3 |
40 |
강관용 |
30 |
25 |
동관용 |
27 |
32 |
80±3
|
27 |
강관용 |
37 |
동관용 |
40 |
32 |
104±3
|
40 |
강관용 |
37 |
32 |
동관용 |
27 |
38 |
87±3
|
27 |
강관용 |
46 |
동관용 |
40 |
38 |
112±3
|
40 |
강관용 |
46 |
40 |
동관용 |
27 |
44 |
94±3
|
27 |
강관용 |
51 |
동관용 |
40 |
44 |
114±3
|
40 |
강관용 |
51 |
50 |
동관용 |
27 |
57 |
104±3
|
27 |
강관용 |
63 |
동관용 |
40 |
57 |
129±3
|
40 |
강관용 |
63 |
65 |
동관용 |
27 |
70 |
112±3
|
27 |
강관용 |
79 |
동관용 |
40 |
70 |
140±3
|
40 |
강관용 |
79 |
150±3
|
80 |
동관용 |
27 |
82 |
129±3
|
27 |
강관용 |
92 |
동관용 |
40 |
82 |
151±3
|
40 |
강관용 |
92 |
100 |
동관용 |
27 |
108 |
152±3
|
27 |
강관용 |
117 |
동관용 |
40 |
133 |
170±3
|
40 |
강관용 |
143 |
125 |
동관용 |
27 |
133 |
182±3
|
27 |
12
(1/2") |
강관용 |
143 |
동관용 |
40 |
133 |
206±3
|
40 |
강관용 |
143 |
150 |
동관용 |
27 |
159 |
210±3
|
27 |
140 |
강관용 |
168 |
동관용 |
40 |
159 |
235±3
|
40 |
강관용 |
168 |
200 |
동관용 |
40 |
209 |
280±3
|
40 |
강관용 |
219 |
250 |
강관용 |
40 |
270 |
340±3
|
40 |
300 |
강관용 |
40 |
321 |
395±3
|
40 |
350 |
강관용 |
40 |
350 |
415±3
|
40 |
150 |
2. 우레탄 슈
Model No. SH350 |
가장 완벽한 보온슈 !! |
Model No. SH350-1 |
가장 완벽한 보온슈 !! |
3. 단열이론
◎ 정의
- 열의 이동방지를 의미하며 필요한 열을 필요한 장소에 보존하고 불필요한 열을 방출시키는 것이다.
|
◎ 단열의 목적
- 열손실 방지-동력비 절약- 에너지 효율화
- 쾌적한 환경조성-건강, 위생
- 유체의 동결방지 및 허용온도 유지
|
◎ 단열재의 의미
- 단열재란 열전도율이 0.06Kcal/mh℃이하의 것으로 상온영역에서 보온 냉동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
◎ 단열재가 갖추어야 할 성질
- 열전도율이 적을 것
- 경량일 것
- 흡수율이 적을 것
- 시공성이 좋을 것
- 내약품성일 것
- 물리적 강도가 좋을 것
- 경제적일 것
|
◎ 열유통 단위
◎ 상관관계
|
열전도율
(Thermal Conductivity)
|
열관류율
(Thermal Conductance)
|
열전도저항
(Thermal Resistance)
|
열전도 물성이므로
두께와 무관한 값
|
열전도율(λ)을 두께
(m로 환산)로 나눈수치임
|
|
Mertroc
단위
|
부호
|
λ
|
K
|
R
|
단위
|
Kcal/mh ℃
|
Kcal/㎡ h ℃
|
㎡ h ℃ / Kcal
|
Pound
단위
|
부호
|
K
|
U
|
R
|
단위
|
Beu-lnch / f t² h˚ F
|
Btu / f t² h˚ F
|
f t² h˚ F / Btu
|
환산가
|
λ = 0.124 K
K = 8.062 K
|
K = 4.883 U
U = 0.205 K
|
R(m) = 20.205(p)
R(p) = 4.883 R(m)
|
※ 우리나라에서는 Metric 단위를 사용하지만 유럽, 미주에서는 Pound단위를 사용함으로 상호환산을
요합니다.
(1Btu+252cal, 1ft=0.3048m, 1in=0.025m,△TF=1.8△ TC) |
◎ 단열재 두께의 산출
모든 건물은 부위별로 여러가지 구조체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단열 두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다음 식을
이용합니다.
폼 단열재(FOAM INSULATION)는 다른 단열재보다 단열성 및 강도 면에서 우수하여 가장 널리 쓰여 왔으며, 클로즈드 셀폼은
낮은 열전도율을 지닌 프레온 가스인 R-11, R-12와 폴리와 (Polymer)를 발포한 재료이며, 공기층의 2/3정도의 열전도율을
나타내어 보통 공기층의 1.3~2.0배의 열전도율을 지닌 기존의 폼 단열재(OPEN CELL FOAM)나 유리섬유(Glass Fiber
Insulation)보다 뛰어난 단열성을 나타냅니다. 더우기 대기중의 산소, 질소, 수증기 등과 반응하여 확산이 일어나서 수 년내에
노화가 발생하지만 이때의 열전도율이 공기층과 비슷하므로 지속적인 단열 성능의 유지가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여기서 Closed Foam이란 독립 기포로 구성된 Foam 단열재로 국내에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경질 우레탄폼이 이에 해당됩니다.
경질 우레탄 폼은 90% 이상이 Closed Cell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단열재별 특성 비교표
모든 건물은 부위별로 여러가지 구조체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단열 두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다음 식을
이용합니다.
폼 단열재(FOAM INSULATION)는 다른 단열재보다 단열성 및 강도 면에서 우수하여 가장 널리 쓰여 왔으며, 클로즈드 셀폼은
낮은 열전도율을 지닌 프레온 가스인 R-11, R-12와 폴리와 (Polymer)를 발포한 재료이며, 공기층의 2/3정도의 열전도율을
나타내어 보통 공기층의 1.3~2.0배의 열전도율을 지닌 기존의 폼 단열재(OPEN CELL FOAM)나 유리섬유(Glass Fiber
Insulation)보다 뛰어난 단열성을 나타냅니다. 더우기 대기중의 산소, 질소, 수증기 등과 반응하여 확산이 일어나서 수 년내에
노화가 발생하지만 이때의 열전도율이 공기층과 비슷하므로 지속적인 단열 성능의 유지가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여기서 Closed Foam이란 독립 기포로 구성된 Foam 단열재로 국내에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경질 우레탄폼이 이에 해당됩니다.
경질 우레탄 폼은 90% 이상이 Closed Cell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경질 우레탄폼
|
스치로폴
|
암면
|
유리면
|
제품형태
|
뿜칠주입판상
|
판상
|
판상
|
판상
|
공업규격
|
KS M3809
|
KS M3808
|
KS F4701
|
KS L9102
|
밀도
|
0.030~0.050
|
0.016 ~ 0.030
|
0.06 ~ 0.18
|
0.01 ~ 0.024
|
열전도율
|
0.015
|
0.03 ~ 0.039
|
0.035 ~ 0.045
|
0.031 ~ 0.037
|
내화성
|
난연
|
난연
|
불연
|
불연
|
흡수율
|
1%
|
3 %
|
크다
|
크다
|
사용온도범위
|
100 ℃ ~ -196 ℃
|
70 ℃ ~ 55 ℃
|
600 ℃ ~ 25 ℃
|
300 ℃ ~ 25 ℃
|
모세관현상
|
없음
|
없음
|
없음
|
없음
|
Closed Cell
|
90%
|
-
|
-
|
-
|
4. 경질 우레탄 폼의 물성
◎ 경질 우레탄 폼의 일반적인 성질
항 목
|
특
성 |
측 정
|
방 법
|
Closed cell 비율 |
90% 이상 |
ASTM |
D 1940 |
수증기 투과율 |
1.5 perm-inch |
ASTM |
C 355 |
흡수율 |
-> |
ASTM |
C 2127 |
Humid Aging, RH 100%, 70℃ |
- |
ASTM |
D 2126 |
◎ 물성 측정방법과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1) K-factor(열 진도도)
가. 측정방법
- ASTM C 177
- ASTM C 518
나. 영향을 미치는 인자
- 발포제의 종류
- Cell 크기 |
◎ 제조공장
◎ 물리적 특성(Physical properties)
항 목
|
단 위
|
물성치 |
시험방법 |
밀도 |
g/㎤ |
0.025~0.050 |
ASTM D-1622 KSM3809 |
열전도율 |
Kcal/mh℃ |
0.014~0.018 |
ASTM C-177 KSM3809 |
압축강도 |
kg/㎠ |
2.0~4.5 |
ASTM C-1621 KSM3809 |
인장강도 |
kg/㎠ |
3.0~5.5 |
ASTM C-1623 KSM3809 |
전단강도 |
kg/㎠ |
1.8~3.5 |
ASTM C-273 KSM3809 |
흡수율 |
% |
1미만 |
ASTM C-209 KSM3809 |
투습율 |
Perm-in |
2이하 |
ASTM C-355 KSM3809 |
화염전파율 |
50mm 기준 |
30이하 |
ASTM C-108 KSM3809 |
연기발생율 |
50mm 기준 |
450이하 |
ASTM C-84 KSM3809 |
독립기포율 |
% |
90 |
ASTM C-1940 KSM3809 |
안전도사용온도 |
℃ |
-200~100 |
- |
모세관현상 |
- |
없음 |
- |
|
|